2025 희망두배 청년통장, 서울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모든 것
희망두배 청년통장이란?
희망두배 청년통장은 서울시가 일하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운영하는 매칭적립형 통장입니다. 본인이 매달 일정 금액(10만 원 또는 15만 원)을 2년 또는 3년간 저축하면, 서울시와 시민 후원금으로 동일 금액을 1:1로 매칭 적립해주는 제도예요. 만기 시에는 본인 저축액의 두 배와 은행 이자까지 받을 수 있어 목돈 마련에 큰 도움이 됩니다.
2025년 신청 자격 및 조건
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
1. 서울시 거주 청년 (주민등록 기준)
2. 만 18세~34세(1990.1.1.~2007.12.31. 출생자)
3. 최근 1년 내 3개월 이상 근로(월 10일 이상 또는 월 60시간 이상
근로)
4. 본인 근로소득 세전 월평균 255만 원 이하
5. 부·모(미혼) 또는 배우자(기혼) 소득 연 1억 미만, 재산 9억 미만
6. 군 복무자는 복무기간만큼 신청 연령 상향 가능
※ 세대분리 여부와 관계없이 미혼자는 부모, 기혼자는 배우자 기준 적용
※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, 통장 개설 불가자 등은 신청 불가
지원 내용 및 적립 방식
1. 저축액: 월 10만 원 또는 15만 원(본인 선택)
2. 적립 기간: 2년(24개월) 또는 3년(36개월) 중 선택
3. 매칭 지원: 본인 저축액과 동일 금액을 서울시가 매월
적립(1:1 매칭)
4. 만기 수령액 예시:
- 월 15만 원 × 3년: 본인 540만 원 + 지원 540만 원 = 1,080만 원 + 이자
- 월 10만 원 × 2년: 본인 240만 원 + 지원 240만 원 = 480만 원 + 이자
적립금은 만기 일시 지급되며, 별도의 이자도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.
신청 방법과 일정
1. 신청 기간: 2025년 6월 9일(월) ~ 6월 20일(금) 18:00까지
2. 신청 방법: 온라인 신청(PC만 가능) -
서울시 자산형성지원사업 홈페이지
3. 선발 인원: 총 10,000명
4. 선발 발표: 2025년 11월 4일 예정
※ 신청기간 외에는 접수 불가, 준비 서류는 미리 확인 필수!
유의사항 및 주의점
- 적립 기간의 50% 이상 저축·근로 유지, 연 1회 이상 금융교육 이수 등 조건 준수
필수
- 신청 요건 충족해도 예산 한도 내 선발, 서류 심사에서 탈락할 수 있음
- 부정확한 정보 제출 시 환수 및 불이익 발생 가능
- 조기 해지 시 지원금 미지급, 일부만 지급될 수 있음
자주 묻는 질문
Q. 서울시 외 거주자는 신청할 수 있나요?
아니요. 반드시 서울시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.
Q. 대학생, 아르바이트생도 신청 가능한가요?
네. 근로소득이 있고, 최근 1년 내 3개월 이상 근로(월 10일 이상 또는 월 60시간 이상)라면 가능합니다.
Q. 만기 전 중도 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?
중도 해지 시 서울시 지원금 일부 또는 전액을 받지 못할 수 있으니, 약정 기간을 꼭 지키세요.
Q. 저축액은 자동이체로 납입하나요?
네. 매월 자동이체로 저축액을 납입해야 하며, 미납 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.
2025년 희망두배 청년통장, 목돈 마련의 기회!
서울 청년이라면 누구나 도전해볼 만한 최고의 자산형성 지원제도! 지원 조건, 신청 일정, 준비 서류 꼼꼼히 확인하고, 이번 기회에 꼭 신청해보세요. 미래를 위한 든든한 첫걸음이 될 거예요 😊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