월 수익 1000만원: 프리랜서 vs. 개인사업자 순수익 비교 분석
월 수익 1000만원 (연 수익 1억 2000만원)을 가정하고, 가장 기본적인 상황을 기준으로 각 유형의 예상 월 순수익을 계산해 보겠습니다. 1. 프리랜서 (3.3% 원천징수 후 종합소득세 신고) 프리랜서는 수입에서 경비를 제외한 소득에 대해 종합소득세를 납부합니다. 경비 증빙이 적을수록 세금 부담이 커지는 구조입니다. 가정 : 월평균 경비 150만원 (연 1800만원) 지출 및 장부 기록으로 인정 항목 월 예상 금액 (원) 연 예상 금액 (원) 설명 총수입 (매출) 10,000,000 120,000,000 필요경비 1,500,000 18,000,000 사업 관련 지출 (장부 증빙) 종합소득금액 8,500,000 102,000,000 총수입 - 필요경비 종합소득세/지방소득세 약 1,700,000 약 20,400,000 과세표준 1.02억 구간 (35% 세율 적용) 국민연금/건강보험료 약 850,000 약 10,200,000 지역가입자 (소득/재산 기반) 총 공제액 약 2,550,000 약 30,600,000 월 예상 순수익 약 7,450,000 총수입 - 총 공제액 2. 개인사업자 (부가가치세 + 종합소득세 신고) 개인사업자는 지출한 경비에 포함된 부가가치세 10%를 환급 또는 공제받을 수 있어, 실질적인 경비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. 이것이 절세의 핵심입니다. 가정 : 월평균 경비 300만원 (연 3600만원) 지출 및 증빙 이 경비에는 부가세 10%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 (공급가액 약 273만원 + 부가세 약 27만원) 항목 월 예상 금액 (원) 연 예상 금액 (원) 설명 총수입 (매출) 10,000,000 120,000,000 부가세 별도 (공급가액 기준) 부가가치세 (납부) 약 730,000 약 8,760,000 매출세액(100만) - 매입세액(27만) 필요경비 2,730,000 32,760,000 경비 지출액에서 부가세 제외 종합소득금액 7,270,000 87,240,000 총수입 - 필요경비 종합소득세/지방소득세 약 1,180,000 ...